본문 바로가기
연구/Paper

왜 Tassel은 RDMA NICs를 사용하였는가? (SIGCOMM'24)

by sumping 2024. 11. 29.

Tassel Fast를 제공하기 위해서 RDMA NICs을 사용하였다. Tassel에서 motivation으로 삼은 논문이 SENIC@NSDI’14 PIEO@SIGCOMM’19인데 두 논문도 fast를 제공한다. 하지만 Tassel이 달성하고자 하는 성능은 100Gbps 대역폭에서 최대 110Mpps이기 때문이다. 이런 성능을 달성하려면 고성능의 NIC이 필요한데, smartNIC이나 RNICs을 고려할 수 있다. 그 중에서 Tassel RNIC을 사용한다. smartNIC rate limiter를 제공하기 때문에 FPGA-based smartNIC도 고려할 수 있겠지만 저자는 RNICs을 선택한 것 같다. RedN@NSDI’22를 보면 smartNICs cost + management 측면에서 한계가 있어서 RNICs을 선택하였다고 가정한다.

Rate limiter 자체를 NIC offload하여 fast and scalable을 달성하였다는 건 PIEO@SIGCOMM’19 논문을 통해 이해가 더 잘 된다. Software packet schedulerlower precision and higher CPU utilization이라는 drawback이 있어서 NIC offload하는 것이 성능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. (software scheduling CPU cycle cost가 크고 PCU overhead도 존재한다. 또한 link speed cpu speed mismatch하기 때문에 오히려 성능이 저하된다.